배너 닫기


우리만의 문제가 아닌 후쿠시마 오염수

등록일 2019년09월11일 09시00분 URL복사 프린트하기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숀 버니(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 전문가)가 “아베 내각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 원전에 쌓여있는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이하 오염수) 100만 톤 이상을 태평양에 방류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4일 국회 기자간담회에서도 “오염수가 방류되면 동해로 유입될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국제 사회에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해 우리나라가 발칵 뒤집혔다.

2011년 3월 11일에 일어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규모 9.0의 대지진과 쓰나미로 발전소와 변전 설비가 침수되면서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고 원자로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나 방사성 물질이 대거 누출된 사고이다. 그로 인해 고장 난 냉각장치를 대신해서 뿌렸던 바닷물이 방사성 물질을 머금은 오염수로 누출되면서 고방사성 액체가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따라 오염수 처리문제가 시급해졌고, 결국 일본 정부는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 4월 4일부터 10일까지 저농도 오염수를 바다로 방출했다.

이후 8년이 지났지만, 원자로에서는 아직도 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열을 식히기 위해 많은 양의 냉각수가 주입되고 있는데, 이렇게 만들어지는 ‘방사능 오염수’는 하루에 약 170톤으로 그동안 저장된 걸 다 합치면 약 115만 톤이다. 그런데 이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겠다는 방안이 공론화된 것이다. 현재 오염수 저장고는 2022년까지 쓰면 꽉 차는데, 오늘날의 기술로는 방사능 오염수를 정화하는 것이 불가능해 일단은 오염수를 새지 않도록 보관한 뒤 기술 개발에 전념해 추후 처리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단기적 해결책으로 오염수 저장 탱크를 지하에 묻거나, 뚜껑을 열어둔 채 조금씩 증발하도록 하는 방안이 거론되지만, 이 역시 근본적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또한,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류하려는 의도에는 처리 비용도 한몫한다. 일본 원자력 업체들이 제안한 방사성 물질 제거 기술은 최소 20억 달러(약 2조 2,600억 원)에서 많게는 1,800억 달러(약 203조 5,000억 원)가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비해 태평양에 방류하는 것은 3,000만 달러(약 340억 원)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만일 일본이 오염수를 바다로 방류시키면 몇 달 만에 제주도 부근 해역까지 오염되고 1년 안에는 동해 전 수역이, 나중에는 태평양 전체가 오염되어 연안국들 모두가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러시아와 미국, 캐나다는 물론 중남미 각국, 호주 등도 안전을 장담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인류 모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것으로 우려된다. 2011년 후쿠시마 사고 당시에 나왔던 방사성 물질이 해류를 타고 어떻게 움직였는가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년 후부터 동해에서 발견된 세슘의 농도가 차츰 늘기 시작했다. 그리고 3~4년 후에는 세슘의 농도가 최고치를 찍어 사고 전보다 2배 이상의 농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해류를 타고 방사성 물질들이 움직인다는 것을 어느 정도 입증한 셈이다. 또한, 이 방사성 물질들이 생물 농축을 통해 해양 생태계에 지속해서 축적되기 때문에 우리에게 어떤 건강상의 영향을 미칠지 정밀한 과학적 조사와 연구가 이뤄져야 하며 방사능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위험의 정도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위험요소이다.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양자 대화는 물론 국제행사를 통한 다자간 대화로 이 문제를 계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전략을 더 촘촘히 짜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에 이 문제를 제기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 태평양 연안 국가들과 공조체제를 굳건히 구축한 뒤 국제적 관심을 높여 일본이 오염수를 무단배출하지 못하게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신지선 기자 jisund5s@naver.com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보도 여론 사람 교양 문화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