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의 해수면 상승은 한반도 서쪽 지형의 형성에 깊은 관련이 있다. 고생대부터 중생대까지 오랜 시간 이 지역은 해양 환경과 육상 환경이 반복되면서 다양한 지질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내륙 깊은 곳까지 바닷물이 들어와서 진흙과 모래가 퇴적되었고, 해수면이 다시 낮아지면 이 퇴적층은 압력에 의해 암석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형성된 지대가 변산반도와 마이산이다.
1억 년 전 해수면 하강기에 조개, 진흙과 자갈 퇴적되어 형성된 변산반도
변산반도는 조개껍질, 진흙, 모래 등으로 형성된 퇴적암층이 되었고, 이후 지각변동과 풍화작용으로 다양한 암반 지형이 형성되었다. 해수면 상승기에 퇴적된 진흙이 점판암, 이암, 사암 등의 다양한 퇴적암으로 변형되었다. 또한, 말의 귀를 닮은 두 봉우리의 마이산도 중생대 말기 약 7천만 년 전에 자갈과 모래가 섞인 퇴적물이 단단히 굳어져 만들어졌다. 이러한 비슷한 퇴적 환경이 해양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내륙 깊은 곳까지 이어지고 있다.
진흙과 자갈이 해수면 하강으로 퇴적암을 형성하여 만들어진 진안 마이산
황해의 해수면 상승과 하강이 반복되자 바다였던 변산반도에서 마이산까지 퇴적 작용으로 암반과 지질 구조가 형성되었다. 한반도 서쪽 지형이 해양과 대륙의 경계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했는지 보여주는 지질학적 증거이자, 앞으로 기후변화가 해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지형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환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