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그램? 그게 무엇인가요?
홀로그램(Hologram)이란 그리스어로 ‘완전한’이라는 의미의 ‘Holos’와 ‘정보, 메시지’라는 의미를 지닌 ‘Gramma’의 합성어로 물체의 표면에 반사된 빛을 통해 어느 각도에서든 3D 입체 영상을 보여주는 기술이다. 쉽게 말하자면 어떠한 각도에서든 물체의 모습을 3D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흔히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3D 영화관을 찾아가거나 3D TV를 구매하고는 한다. 이때 비용도 많이 들고 안경을 따로 착용해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 홀로그램은 이런 불편함 없이 누구든지 편하게 마치 눈앞에 있는 것처럼 생생한 느낌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홀로그램은 어디에 쓰이는 거예요?
인체와 기계의 정밀 진단부터 자연과 문화의 입체 보존, 엔터테인먼트까지 홀로그램의 응용 범위는 매우 넓어지고 있다. 1983년 마스터카드에서 위조 방지를 위해 도입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소프트웨어의 복제방지를 비롯해 지폐 또는 서류의 위조방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는 X선이나 초음파를 사용해서 찍은 단층 사진을 입체 화상화(畵像化)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의사들은 여러 장의 환부 단층 사진을 보면서, 자신의 머릿속에서 입체상을 만들어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워 환부의 입체 이미지를 얻기 위해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회전형 X선 촬영 장치를 사용하여 환부를 360도 방향에서 촬영해 화상에 레이저 광을 대고 한 장의 홀로그램에 수록해 이용한다.
설계 분야에서는 기계와 건물의 여러 요소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여러 각도에서 본 대상물의 모습을 계산시킨다. 이때 나온 입체 화상을 CRT(브라운관)에 표시하여 검토한다. 이 방법은 흔히 쓰이고 있는 수법으로 대상물을 더욱 입체화시키는 것이다. 기계와 건물의 완전한 축소판을 만들어 입체를 영상화하면 더욱 세밀하게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CRT 표시에 따른 비틀림과 2차원 표시의 불충분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홀로그램 기술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한 공연이 진행되고 있다. 2012년 힙합 가수 스눕 독의 공연에서는 유사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16년 전에 사망한 힙합 가수 투팍이 실제 공연하는 것처럼 연출했고, 2014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도 사망한 가수 마이클 잭슨이 실제 무대 위에서 공연하는 듯한 모습을 연출한 바 있다. 다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기술은 진짜 홀로그램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된 투명한 스크린을 무대 위에 설치해, 관객은 스크린에 반사된 영상을 보는 것이다. 3차원 공간에 나타나는 홀로그램이 아니라 단순한 눈속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것들을 ‘유사 홀로그램’이라 부른다.
나날이 발전하는 홀로그램, 전망은 어떤가요?
홀로그램 시장은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연평균 13%씩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0년 35조 원, 2025년 75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각국의 기업에서는 홀로그램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창조경제의 9대 전략산업 중 하나인 실감형 콘텐츠 분야로 홀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현재 실제 홀로그램을 이용한 완전 입체 영상 기술은 초보 단계이고, 완전한 입체의 디지털 홀로그램 제작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견이 많다. 홀로그램은 미래창조과학부 ‘ICT 연구·개발 중장기전략’의 10대 핵심기술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는데, 이 정책에 아날로그 홀로그램과 유사 홀로그램을 포함한 것이 그러한 현실을 반영한다. 홀로그램 시장의 발전은 완전한 디지털 홀로그램이 기술적으로 완성될 때까지 아날로그 홀로그램을 이용한 콘텐츠와 유사 홀로그램을 이용한 공연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이승민 기자 paradise11_0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