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희 교수(치위생과)
얼마 전까지 큰 인기를 얻었던 <위대한 탄생>이나 <슈퍼스타 K> 같은 프로그램을 보고 있으면 참가자들의 아마추어 같지 않은 실력에 감탄할 때가 있다. 가끔은 감정에 겨워 눈물 흐르는 얼굴을 숙이면서도 끝까지 시청하게 되는데, 아마도 참가자들이 그 자리에 올 때까지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시간을 지나왔을까에 대한 동질감과 대견함 그리고 안타까움 때문인 것 같다. 중간에서 탈락한 참가자들에 대한 마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자신이 꿈꾸는 미래를 위해 그들 모두 얼마나 길고 긴 훈련의 시간을 보냈을까? 때로는 너무나 힘들어 주저앉기도 했을 것이고, 때로는 아예 포기하고 싶은 생각도 들었을 것이다. 자신이 발휘할 수 있는 최상의 실력을 보이기까지는 당연히 무수히 많은 실수의 과정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 연습 없이 무슨 성과가 있을 것이며, 실수 없이 어떻게 처음부터 완벽할 수 있으랴. 난 겉으로 드러난 그들의 노래 실력보다는 그 자리에 서기까지 그들이 겪어 왔을 실수로 가득한 고된 연습과정에 더욱 마음이 끌렸던 셈이다.
몇 해 전 우연히 밤늦게 개그맨 김병만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봤다. 그는 남을 웃기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 하나로 21살에 단돈 30만 원을 들고 무작정 서울로 올라왔다고 한다. 남들보다 작은 키와 심한 평발, 게다가 심각한 무대공포증에 소심함까지.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개그맨으로 성공하기에는 어려운 조건이었다. 개그맨 공채 시험에 7번이나 떨어지고 방송연예학과 실기시험에는 9번이나 탈락하는 쓰라린 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병만은 좌절과 포기를 택하기보다 오히려 자신의 단점을 이겨내기 위해 치열한 노력을 기울였다고 한다. 실수를 줄이기 위해 연습하고 또 연습하며 최고의 개그맨이 되기까지의 삶의 과정을 바라보면서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실수는 실패가 아니다.” 김병만은 이 믿음이 자신을 만들었다고 했다.
사실 이 말은 내가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다. 우리 과는 전공의 특성상 교내외 실습이 많은데 실습 후 학생 상담을 하다보면 실습현장에서 실수를 하면 혼이 날까봐 적극적으로 실습에 임하지 못하고 왔다는 얘기를 학생들에게 듣곤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 중 교수의 질문에도 학생들은 침묵을 지키거나 주뼛거리는데, 질문에 대한 자신들의 대답이 틀릴까봐, 즉 실수할까봐 부끄럽고 조심스러워 주저주저 한다는 것이다. 실수를 두려워하고 실수에 익숙하지 않은 탓이리라. 리포트를 받아보면 더욱 명확하다. 학생들은 다양한 자료를 길고 예쁘게 깔끔히 정리하여 제출한다. 그러나 그뿐이다. 그 안에 본인의 생각이나 주장은 담겨져 있지 않은 리포트는 그저 잘 정리된 자료에 불과한 것이다.
돌이켜보면 사실 나 또한 이런 시절이 있었다. 학창시절 임상실습 기관에서 환자에게 사용될 보철물 접착재료를 혼합할 수 있는 실습기회를 얻은 적이 있었는데, 너무도 긴장한 나머지 혼합용 파우더를 모두 날려버리는 바람에 큰 꾸지람을 들은 적이 있었다. 또한 중요한 환자의 구강모형을 실수로 변형시켜 환자를 다시 내원하게 했던 기억도 생생하다.
그 당시는 너무도 겁이 나고 쥐구멍에라도 들어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하지만 같은 실수를 또다시 하지 않기 위해 남은 실습기간 동안 매일 남아서 접착용 파우더 혼합과 구강모형용 인상재 혼합 연습을 했었다. 그러한 실수는 이후에도 가끔씩 있었지만 실수를 두려워하기보다는 배워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지금의 실수는 나를 더 크게 키워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그 믿음이 지금의 나를 있게 해주었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것을 접하고 배우다보면 그 과정에서 실수는 당연한 것이고, 어쩌면 오히려 장려돼야 하는 것이다. 실수를 통해 배운다는 말이 있듯이 본인이 실수한 것은 더 오래 기억에 남기 때문일 것이다. 사회에 나가서 하는 실수는 큰 흠이 될 수 있지만 학교에서의 실수는 성공을 위한 연습인 것이다. 우리 학생들이 부디 기억했으면 좋겠다. 실수는 실패가 아닌 성공을 향한 과정이라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