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웠던 여름이 지나며 가을이 찾아오고 있다. 여러 가지 소식들이 있지만 그중 단연 이목을 끄는 것은 세계 곳곳의 자연재해다. 지난 22일, 도쿄 국립경기장역에서는 폭우로 인해 지하철 전체가 물에 잠기는 일이 일어났다. 이제는 지구온난화의 가속으로 인해 빈번히 일어나는 자연재해에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는 시대다. 이제부터 태풍, 홍수를 현명하게 대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을 태풍을 만만하게 보다간 큰 코 다칠 수도 있어!
가을 하면 흩날리는 낙엽이 생각날 것이다. 가을바람에 외로움을 탄다는 말도 있듯이 가을과 관련된 말에는 바람에 관련된 것이 들어간다. 가을 태풍이 다른 계절에 비해 더욱 강력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실제로 우리나라에 큰 타격을 입힌 태풍은 대부분 가을에 찾아왔다. 가공할 위력을 행사한 대표적인 태풍인 매미(2003년), 곤파스(2010년)은 모두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찾아왔다. 이렇게 가을 태풍의 위력이 큰 이유는 이맘때 태풍이 품는 에너지가 다른 계절에 비해 크고 우리나라에 찾아오기 좋은 기상조건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여름 내내 한반도를 차지하던 북태평양 고기압이 물러나는 시점에다, 태풍 발생 수역의 해수면 온도가 8월 말에서 9월 초 사이에 최고치에 이르는 것이 이유라는 관측이 있다고 한다.
장마철 호우 급증으로 인한 침수, 이에 따른 감전 피해
여름 하면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장마다. 특히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는 6월부터 장마가 시작되며 7~8월에 영향력이 가장 크다고 한다. 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장마철 호우가 급증하게 되면서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감전 사고다. 국민안전처 재난연감 통계에 따르면 2011~2015년까지 5년간 총 2,870건의 감전 사고가 발생해 연평균 37.4명이 사망에 이르렀다고 한다. 통계에 따르면 대략 공장 및 작업장(28%), 공사장(11%)과 주택 및 아파트(22%), 학교 및 의료기관(4.5%) 등으로 상당수 발생한다고 한다. 장마철에는 실내외를 가리지 않고 전기 누전이 빈번히 발생하므로 누전 우려가 있는 곳이라면 감전 사고에 반드시 예방해야 한다. 감전 재해의 발생 형태로는 대표적으로 4가지가 있다. 피복이 벗겨진 상태의 전선이나 전기설비에 직접 접촉되거나, 기기 결함 등으로 누전된 전기설비의 외함, 철 구조물에 접촉되거나, 고전압 부위에 인체가 근접되어 공기의 절연파괴로 감전 또는 화상을 입거나, 낙뢰로 인하여 전기에너지가 인체를 통해 방전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렇다면 이런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로부터 나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가을태풍과 홍수로 인한 감전위험으로부터 나와 내 주변을 지키자!
위력이 강한 가을 태풍으로부터 안전을 대비하기 위해선 주기적으로 본인의 거주지역 및 주변의 기상 상황과 위험 상황, 재난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위험지역에 있을 시에는 가능한 빨리 벗어나야 하며 태풍이 거주지에 근접했을 경우 외출을 자제하고 유리문에 테이프를 붙혀서 창문 파손에 대비해야 한다. 또한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는 미리 점검하여 구멍을 뚫어놔야 한다. 홍수로 인한 감전 위험도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이 있다. 전기는 원래 나온 데로 다시 돌아가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전기통로를 차단해야 한다. 홍수로 인해 침수가 시작되면 분전함의 차단기를 즉시 내리고 감전 사고의 위험이 큰 간판, 맨홀 뚜껑, 신호등, 가로등 등 전기시설에 절대 접근해서는 안된다. 야외에서는 자동차, 파이프 철조망 등 금속으로 된 물질에서 멀리 떨어져 걷고, 높은 건물이나 나무 아래 서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누출 가능성이 있는 가스를 미리 차단해 감전 위험이 있는 전기시설을 만지지 않는 것도 중요한 행동 요령이다.
정석현 기자 kanaoo19@g.shing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