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제주도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이로 인해 476명의 탑승 인원 가운데 295명이 사망했고 남은 9명의 실종자들은 아직도 발견되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는 금세기 들어 우리나라의 최대의 인재(人災)로써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면면이 드러냈다.
직업윤리의 부재가 불러온 인재
세월호 침몰 사고는 수학여행을 떠났던 단원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사망자의 대다수를 차지해 안타까움이 더 컸다. 사고 발생 직후 학생들을 비롯한 승객 대부분은 안전사항대로 구명조끼를 착용했고 배가 침몰할 때도 친구나 제자를 위해 자신의 구명조끼를 벗어주어 서로에 대한 배려심까지 보여줬다.
그러나 정작 안전을 책임져야 할 승무원들의 무책임한 행동이 안전지침대로 행동한 승객들의 목숨을 빼앗았다. 선장을 비롯한 승무원들이 승객들을 배 안에 남기고 먼저 탈출해 버린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건의 뒷수습을 맡은 해경의 불성실한 태도도 논란이 됐다. 배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고 선내 학생들이 곧바로 신고했지만, 해경의 안일하고 관료주의적인 대응으로 인해 사고는 참사로 확대됐다.
안개 속에 있는 진실 규명의 향방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세월호 사태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작년 11월 11일 수색이 중단이 된 이후 아직 찾지 못한 단원고 학생과 교사들을 비롯한 실종자 9명의 가족들은 ‘세월호 진실규명은 선체인양 없이는 밝혀지지 않는다’를 외치며 인양을 요구했다. 또 4월 6일에는 특별법과 관련해 유가족들은 기존 내용을 무시한 정부의 정책에 반발해 시행령 폐지를 요구하며 참사가 마무리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안전 불감증, 시민 의식과 국가 시스템 개선 움직임 필요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검찰은 세월호가 무리한 과적·증축 등으로 인해 복원력이 현저히 악화돼 침몰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익 앞에서 안전을 뒤로 미뤄두는 안전 불감증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참사 발생 후 사회적으로 사고 예방과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해 안전 불감증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잇따라 발생한 판교 테크노밸리 환풍구 붕괴 사고와 야탑 에스컬레이터 사고 등 위험지역에 대한 통제와 낡은 시설의 교체, 시설 이용 시 시민들이 경각심을 가졌다면 초기에 예방할 수 있는 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이는 참사 이후에도 안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여전히 미진함을 보여준다.
세월호 참사를 되새기며 제 2의 세월호 참사가 또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한희수 기자 hhs802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