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포괄수가제 도입에 대한 신구인의 생각] 각종 질환, 일정액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

등록일 2013년08월08일 11시42분 URL복사 프린트하기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신아연 학우(원예디자인과 1)

지난 71일부터 정부의 발표로 시행된 포괄수가제(Diagnosis Related Group)는 무엇인가. 진단명 기준 환자군으로 번역되는 포괄수가제는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여 퇴원할 때까지 진료 받은 진찰, 검사, 수술, 주사, 투약 등 진료의 종류나 양에 관계없이 기관종별 및 입원일수별로 미리 정해진 일정액의 진료비만을 부담하는 제도이다.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미리 책정된 가격이 높지 않으니 이 제도는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같은 질병이라 할지라도 환자들의 몸 상태는 천차만별이다. 가격 한도가 있는 상황에서 수술이나 치료를 하게 되면 과소진료를 하게 되어 여러 가지 불이익들을 환자들이 짊어져야한다.

첫째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자주 걸리는 질병 중 하나인 맹장수술을 예로 들어보자. 맹장염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CT를 찍어보니 이미 맹장이 터진 상태이다. 수술 중에도 vital은 불안정했고 수술을 마치고 바로 중환자실로 간다. 아마 이환자는 최소한 2일은 중환자실에 있을 것이고 일반병실로 옮겨서도 5일 이상 경과를 지켜본 후 퇴원하게 될 것이다.

다음은 포괄수가제 시행 때의 예상 맹장수술의 과정이다. CT는 비싸니까 최대한 안 찍고 간단한 초음파 검사로 진단한다. 피검사도 최소한으로 하게 된다. 수술하고 나오면 환자가 괜찮은지만 확인하고 빨리 퇴원시킬 궁리부터 하게 될 것이다. 이때를 위해 수술 전 동의서를 받을 때에 별다른 합병증 없을 시 3일내에 퇴원한다는 각서까지 받아두게 된다.

다소 극단적인 상상이라 할 수도 있지만 이것이 현실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이것이 바로 치료질의 저하 아닌가. 이런 식의 치료를 받는다면, 병이 완쾌된다는 보장도 없고, 재발 가능성도 이전보다 몇 배는 높아 질 것이다. 환자들은 아프더라도 병원에 가는 것보단 낫지 하는 생각에 병을 키울 것이고 이는 곧 국력의 약화를 의미한다.

겉으로 보기엔 시민의 치료비 절감을 위한 대책이라 할 수 있지만, 이 포괄수가제가 탄생한 미국을 예로보자. 미국은 현재 의료비가 높은 국가들 중 하나이다. 포괄수가제를 실시했음에도 국민의 치료비가 부담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치료의 질 저하로 인해 보험회사들은 엄청난 혜택을 누리고, 국민들은 그 보험비를 충당하기 바쁘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전기톱으로 인해 두 손가락의 마디를 잘린 남자는 병원에서 손가락 접합 술의 수술비로 약 8천만 원의 견적 가를 받았다. 남자는 그런 돈은 없다 했더니 병원은 그럼 두 손가락의 가격을 따로 적어주었다. 6천만원과 2천만원. 결국 남자는 2천만원짜리 손가락을 골라 한 손가락만 치료받게 됐다.

우리나라가 이 노선을 따라가지 않으리란 보장이 어디 있나.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누구나 질 높은 치료를 받기를 원할 것이다.

신구학보사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보도 여론 사람 교양 문화

포토뉴스 더보기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