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에서 9월 사이 서울 강북지역의 한 영구임대아파트에서 7명의 주민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실이 보도됐다. 4,250명이 사는 이지역의 경우, 자살률로 환산하면 10만 명당 518명이나 마찬가지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0년 우리나라 자살률인 10만 명당 33.5명을 엄청나게 웃도는 수치다. 사회적 소외, 허무와 허탈에 빠진 이들은 세상의 관심바깥에서 삶의 고단함을 이기지 못하고 극단적인 방법을 택했다.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은 비단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제는 특별대책을 마련해야 할 만큼 절박한 과제가 됐다. 2010년 자살률만 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평균인 12.8명의 2.6배로, 8년째 1위의 불명예를 기록했다. 더욱이 OECD회원국의 자살률은 감소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상승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자살 공화국’이라는 비유가 결코 빈말이 아닌 것이다.
자살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경제적 빈곤의 심화가 가장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7명의 주민 가운데 4명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였고, 6명은 자신이나 세대주가 무직이었다고 한다. 변변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수입 없는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정부와 민간의 지원마저 턱없이 부족했던 것이다. 미래와 희망을 찾을 수 없는 이들은 결국 삶이 벼랑 끝으로 내몰린 사람들이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실업률은 자살률과 같은 맥락을 하고 있다. 실업으로 인한 소득 격차는 사회적 박탈감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경제적 빈곤에 쉽게 노출 되는 대상은 바로 노인층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률은 10만 명당 81.9명으로, 전체 평균의 2.4배에 이른다. 노인 자살률이 전체 자살률보다 낮아지는 외국의 흐름과는 정반대다.
정부와 지방자체단체들은 여러 공공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자살 예방 사업에 앞장서야 함은 물론이고, 개인별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과 연계해 자원봉사활동이나 자살 예방 사업을 추진한다면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자살률은 단지 100을 기준으로 한 숫자가 아니다. 사회문제를 대하는 시각부터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 정부를 비롯한 여러 공공기관에서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다.
대학생들이 자살 예방 사업의 일환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직면한 사회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게 될 것이고, 더불어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김예솔 기자 ys_1294@naver.com